카테고리 없음

담수조류를 이용한 수질환경평가기법 개발필요성 및 목적

아방아방아방 2022. 12. 9. 09:46
반응형

 

1. 연구 필요성 및 목적

 

우리나라 하천은 1960년대 이래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이화학적 수질환경이 크게 악화되면서 여러 수중 생물의 서식지가 교란되는 등 수질환경이 급속히 훼손되었다. 특히 인구의 과다한 도시 집중으로 인하여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현재 인위적 영향을 받지 않은 하천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이 에 따라 환경 변화가 하천 생태계와 수질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수질 오염 예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.

 

BOD, DO와 같은 이화학적 수치는 환경부 수질측정망(http://water.nier.go.kr/weis) 자료에 의하면 같은 하천 일지라도 일별, 주별, 월별 시간적 변화 요인과 조사 지 점의 상황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변함에 따라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는 미진한 면이 없지 않다.

 

하천 생태계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데 수중 생물을 이용할 수 있다면 정확한 수질 측정을 실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활한 환경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환경교육의 본래 취지를 살리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.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상 생물, 화학, 환경과목에서 수질오염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주로 이론 중심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고 환경과 관련된 교과 내용이 학생들에게 너무 전문적이며, 교육 환경 및 기자재 미비로 인하여 효 율적인 환경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. 뿐만 아니라 수질오 염 측정 방법에 대한 내용이 BOD, COD 등의 이화학적 방법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질 분석 및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교육의 효과를 얻는데 제한적인 실정이다(김윤수, 2003).

 

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, 하천 생태계의 생산자인 담수조류를 이용하여 수질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. 둘째, 이러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방법을 하천에 적용한 다음 이를 이화학적 수질평가 방법과 상관관계를 규명한다. 셋
째, 학생들이 현장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주요 담수조류의 분류표를 제작한다. 넷째, 수질등급이 다른 하천에서 주로 서식하는 담수조류를 파악하여 이를 비교하고, 수질등급에 따른 담수조류의 분포상태를 객관화시킴으로서
원활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.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담수조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수질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 하천 생태계에 대한 이해를 돕는데 있다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