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. 교류아크용접기의 개요
교류전원을 사용, 아크를 발생시켜 금속을 용접 또는 용단하는 교류아크용접기에 대하여 적용한다.
나. 주요 위험요인
• 충전부 접촉에 의한 감전 위험
- 용접봉 끝부분, 피복 손상부, 용접 홀더의 파손된 부분, 홀더 선의 피복손상으로 노출된 충전부 및 본체와의 연결부,
기타 전원 공급 장치 충전부
• 용접 작업에 의한 화상 위험
• 용접 흄, 유해가스, 유해광선, 소음, 고열에 의한 건강 장해
• 고열, 불티에 의한 화재, 폭발 위험
• 유독물 체류장소 및 밀폐장소에서의 중독 또는 산소결핍 위험
• 고소작업 등에 의한 떨어짐, 끼임 위험
• 용접자세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위험
다. 주요 재해예방대책(방호장치 설치 등)
• 다음 각 호의 장소에서 교류아크용접기를 사용할 경우 자동 전격 방지기를 설치한다.
① 선박 또는 탱크의 내부, 보일러 동체 등 대부분의 공간이 금속 등 도전성 물질로 둘러싸여 있어 용접작업 시 신체의
일부분이 도전성 물질에 쉽게 접촉될 수 있는 장소
② 높이 2m 이상 철골 고소작업 장소
③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장소
• 자동전격방지기는 법 제89조에 따른 자율안전 확인 신고를 한 제품이어야 한다.
• 전격방지기는 아크 발생이 중단된 후 1초 이내에 교류아크용접기의 출력 측 무부하 전압을 자동적으로 25V이하
(전원 전압 변동이 있을 경우 30V 이하)로 강하시켜야 한다.
• 자동전격방지기를 용접기에 설치할 때에는 자동 전격 방지기의 구조와 성능에 익숙한 전기 취급자 등(전기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자를 말한다.)이 한다.
• 자동전격방지기의 설치 및 배선을 완료한 후, 기준에 적합한 것인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여야 하며, 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때에는 즉시 보수 또는 교환한다.